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우리활쏘기

우리활 용어

Total 7건
  • 각궁(角弓)

    전시ㆍ수렵용(戰時狩獵用)과 연악ㆍ습사용(讌樂習射用)의 2가지가 있으며 전시ㆍ수렵용은 뽕나무, 뿔, 소힘줄, 실(絲), 민어부레풀, 옷칠 등의 6가지 재료를 사용하며 연악ㆍ습사용은 뽕나무, 뿔, 소힘줄, 민어부레풀, 참나무, 대나무, 화피(樺皮)의 7가지 재료로 만듦

    강궁(强弓)

    센 활

    곁피

    줌위를 산 벚나무 껍질을 말함

    고자

    도고지로부터 양냥고자 끝까지 전체부분을 말함

    궁간목(弓幹木)

    목궁(木弓)의 재료로서 애끼찌 즉 산비마자나무를 말함

    궁간상(弓幹桑)

    목궁(木弓) 및 각궁(角弓)의 재료로 산뽕나무를 말함

    궁대(弓袋)

    활을 넣는 주머니로 활을 쏠 때는 허리에 둘러메고 살을 꽂음

    궁의(弓衣)

    궁대와 같음

    궁현(弓弦)

    활시위

    양냥고자

    심고를 거는 고자 끝부분

    단궁(檀弓)

    한국 목궁의 시초로서 박달나무 활을 말함

    대림끝

    활의 아래 아귀와 밭은 오금사이. 즉 줌으로 붙인 참나무의 양쪽 끝부분

    도고지

    시위에 심고를 맨 부분이 닿은 곳에 붙인 원형의 가죽

    동개활

    활과 화살을 동개에 넣어 등에 메고 말타며 쏘는 제일 작은 활

    막막강궁(莫莫强弓)

    아주 센 활

    먼 오금

    한오금과 삼삼이 사이

    면 벚    

    도고지 바로 밑 부분을 감은 벚나무껍질을 말함

    목궁(木弓)

    애끼찌와 산뽕나무로 만드는 전시와 수렵에 공용된 활

    목소

    본래 후궁(㢿弓)의 뿔에 댄 뽕나무를 말하며 현재는 도고지에서 삼삼이까지를 말함

    무력심

    양냥고자의 심고가 걸리는 부분에 감은 소힘줄

    무력피

    무력심을 덮은 가죽으로 서피라고도 함

    반궁(半弓)

    대궁의 반 정도 되는 짧은 활, 앉아서 쏠 수 있었다고 함

    밭은 오금

    대림끝과 한 오금 사이

    부레풀

    활의 각 재료를 붙이는 접착제로 민어의 부레를 지방질만 제거하여 끓여서 쓴다.

    부린활(弛弓)

    시위를 풀어 놓은 활

    보싸기

    활의 줌 허리를 벚나무 껍질로 싼 꾸밈새

    뿔끝   

    뿔과 뽕나무 끝이 서로 닿는 곳

    삼동   

    줌통과 양편 목소

    삼삼이

    먼 오금 아래 대나무와 뽕나무가 연결되는 곳

    시위   

    활에 화살을 끼워 잡아당기는 줄

    실중힘

    센 활 다음 가는 활로 실중력(實中力)이라고도 함.

    심고    

    시위끝에 심으로 만들어 양냥고자에 거는 고리

    아귀    

    줌피의 상ㆍ하(上下)끝 부분

    아귀피

    줌아래와 위에 벚껍질로 감은 곳

    아래아귀

    줌피의 아래 끝 부분

    아래장

    활의 한통 아래 부분

    얹은활(張弓)

    시위를 걸어 놓은 활

    연궁(軟弓)   

    무른 활

    연상(軟上)

    실중힘 아래 활로 무른 활중에서 제일 센 것

    연중(軟中)

    연상의 아래 활로 무른 활 중에서 조금 센 것

    연하(軟下)

    연상의 아래 활로 가장 무른 활

    예궁(禮弓)

    조선시대까지 사용되던 활의 한 종류로 본이름은 대궁(大弓)이며 궁중연사(宮中燕射)와 반궁대사례(泮宮大射禮)와 향음주례(鄕飮酒禮)에 사용되었으므로 예궁(禮弓)이라고 한다.

    오금

    한오금과 같음

    용벚

    온 몸을 벚나무 껍질로 감은 활

    웃아귀

    줌피의 위쪽 끝부분

    윗장

    활의 한통 윗부분

    장궁(長弓)   

    각궁의 한가지로 도고지 밑까지 뿔로 댄 활. 즉 긴 뿔을 댄 각궁을 말함

    절피  

    활 시위의 오늬를 먹이는 부분에 감은 실 또는 실로 감은 곳

    정량궁(正兩弓)

    속칭 큰 활이라고 하며 각궁과 같으나 몸체가 크고 두꺼우며 힘이 강하고 쏠 때에는 시위를 만개(滿開)하면서 뛰어 전진하여 그 반동의 힘을 빌리게 된다.

    정탈목

    도고지 밑의 굽은 부분

    줌(弝)

    활을 쏠 때 손으로 잡는 활 가운데 부분

    줌통    

    줌과 같음

    줌피    

    줌을 싼 피

    중힘  

    실중힘 다음가는 활이며 중력(中力)이라고도 함

    창밑  

    목소의 중간부분부터 정탈목까지를 말함

    철궁(鐵弓)

    순전히 철로서 만든 전시용(戰時用) 활

    철태궁(鐵胎弓)

    각궁과 같으나 단지 궁간(弓幹)을 철로 만들어 전시와 수렵에 공용되었던 활

    출전피

    줌위 옆으로 화살 닿는 곳에 붙인 가죽

    칠지단장(漆紙丹粧)

    양냥고자 밑에 칠지로 가로 꾸민 장식

    한오금

    밭은 오금 다음으로 오금이라고도 함

    한통    

    활의 한가운데

    화피(樺皮)

    벚나무 껍질로 활의 표면을 감싼다. 장식용과 방수용의 기능이 있으며 맹물에 삶으면 노란색이 되고 3개월 이상 햇볕에 쬐면 흰색이 되며 잿물에 삶으면 보라색이 된다.

    화피단장(樺皮丹粧)

    활의 몸을 화피로 꾸민 단장

    후궁(㢿弓)

    짧은 뿔을 댄 각궁으로 삼삼이부터 도고지까지 뽕나무를 댄 활

  • 화살

    각명(刻名) 깃사이에 성명을 쓴 것

     경전(輕箭) 다른 화살에 비해 가벼운 화살

     고시(楛矢) 광대싸리 화살

     굽통 화살의 끝으로 상사의 윗부분

     긴작 긴 화살

       깃간 도피아래 세갈래로 붙인 것

     깃간 화살대의 깃 붙인 사이

     깃간도피 오늬아래서 부터 깃 위까지 복숭아나무 껍질로 싼 것

     깃간마디 깃 바로 아래 마디로 윗마디라고도 함

     늦은삼절 상사위 화살대 3째마디

     내촉 화살촉이 쇠촉이었을 때 살대 속으로 들어가 끼어 있는 부분

     달아진 살 가늘고도 무거운 화살

     댓눈 깃이 바르게 오도록 화살 윗부분의 파인자리

     더데 과거 화살의 촉이 쇠촉이었을 때 살촉 중간을 둥글고 우뚝하게 하여 내촉과 외촉을 구별한 것

     도피(桃皮) 복숭아나무 껍질로 오늬 등에 붙이며 오늬를 튼튼하게 하고 습기를 막아준다.

     동개살 대우전(大羽箭)이며 동개에 넣어 메고 다니므로 동개 활과 같이 동개 살이라 부르며 전시 마상용(戰時馬上用)이다.

     목전(木箭) 나무로 만드는 화살

     몸빠진 살 가느다란 화살

     부푼살 굵은 화살

     살걸음 화살가는 속도

     살밑 화살 촉

     상사 살대 아래에 끼운 대나무통

     서분한 살 굵으면서 가벼운 화살

     시누대 화살대의 재료로 식대, 해장죽이라 하며 우리나라 중남부 해안지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시자표 1자대 2자대등 화살의 차례를 표시한 것

     아량전(亞兩箭) 6량전과 같이 칠재(七材)로 만드나 그 무게가 4량(四兩)으로서 정식량수(正式兩數)에 버금간다고 하여 아량전(亞兩箭)이라고 부른다.

     예전(禮箭) 길이가 석자이며 깃이 크고 반궁대사례, 궁중연사, 향음주례때와 같은 예식때 쓰이던 화살이다.

     오늬 시위에 끼고 쏘는 화살 윗부분으로 참싸리로 만든다.

     오늬도피 오늬를 감싼 복숭아나무 껍질

     외촉 쇠촉일 경우 살촉의 더데 아래 부분

     우궁깃 꿩의 왼쪽날개 깃을 사용한 것으로 우궁(右弓)의 화살에 쓰임

     유엽전(柳葉箭) 각궁에 사용하며 무과(武科)와 습사용이 있으며 무과의 초시(初試)와 복시(覆試)에 쓰이는 것 외에는 예리한 촉을 금한다. 촉부분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죽시(竹矢)와 같음

     육량전(六兩箭) 철전(鐵箭)이며 화살의 무게가 6량(六兩)이 되므로 육량전이라 한다.

     은오절(隠五節) 상사에 감춰진 마디

     자표 시자표와 같음

     짧은작 길이가 짧은 화살

     장군전(將軍箭) 순전히 쇠로 만들며 무게가 3근∼5근이고 포노(砲弩)로 발사하여 적의 배를 파괴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함

     장전(長箭) 재료는 육량전과 같고 그 무게가 한량(一兩) 5,6돈(錢)이면 전시(戰時)에 궁수용으로 사용되었다 한다.

     좌궁깃 꿩의 오른편 날개깃으로 만든 화살깃으로 좌궁(左弓)의 화살에 쓰이는 깃

     주살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 활을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주살질을 시킴

     중전(重箭) 무거운 화살

     철전(鐵箭) 광대싸리 대나무 철 소힘줄 꿩깃 도피 부레풀의 7가지 재료로 만들며 육량전(六兩箭) 장전(長箭) 아량전(亞兩箭)의 3종류가 있었다고 함

     토리 과거에 촉이 쇠촉일 경우 살대 끝에 씌운 쇠고리

     편전(片箭) 화살이 적어서 속칭 애기 살이라고도 하며 대나무통 안에 넣어서 발사한다.

     평작 길지도 짧지도 않은 화살

     허리간마디 화살의 중간부분에 있는 마디로 가운데 마디라고도 함

     허리힘 화살의 중간이 단단한 것을 말함

  • 부속품

    각지(角指) 깍지라고도 하며 주로 쇠뿔로 만든다. 각지손 엄지손가락에 끼며 시위를 당길 때 사용한다.

    고전기(告傳旗) 화살의 적중여부를 알려주는 깃발

    두루주머니 과거에 궁시와 부속품을 넣어두는 주머니로써 전통에 매달아 두었음

    메뚜기 팔찌 활 쏠때 넓은 옷 소매를 잡아매는 메뚜기 장식의 팔찌

    밀피 시위에 바르는 밀을 씻는 가죽이나 포속

    보궁(保弓) 얹은 활이 틀어지거나 뒤집혀지지 않도록 끼워두는 실가락지

    사정기(射亭旗) 사정을 대표하는 기(旗)

    산주(算珠) 활을 쏠 때 순(巡)을 계산하는 구슬

    살방석 화살을 닦는 제구

    살수건 화살을 닦는 수건

    살수세미 활촉을 문질러 닦는데 쓰는 대수세미

    살날이 무겁에서 주운 화살을 사대까지 보내는 기구

    삼지끈 보궁(保弓)과 같으며 삼지에 끼는 실가락지라는 데서 삼지끈이라고 부름

    암각지 평각지와 같으나 앞부분이 시위가 걸리도록 약간 파여있음

    운시대 살날이와 같음

    유열각지 각지손가락으로 당기도록 길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으며 숫각지라고도 함

    은각각지 각지의 뿔 안쪽에 흰색의 둥근 테가 있는 것

    장족(獐足) 과거 나무과녁에 고무판을 입히지 않았을 때 과녁에서 살을 뽑는 노루발 같이 생긴 기구

    장족마치 화살 뽑을 때 장족을 두드리는 망치

    전통(箭筒) 화살을 담는 통으로서 죽전통(竹箭筒)이나 지전통(紙箭筒) 오동나무 전통 등이 많이 사용된다.

    전통조승 전통을 달아서 허리에 차는 쇠나 뿔로 만든 것

    전통주머니 두루주머니와 같음

    점화통 알맞는 온도를 유지토록 하여 활을 보관하는 통

    촉도리 살촉을 뽑거나 박는 기구

    팔찌 한복등 넓은 소매의 옷을 입을 때 활 쥐는 팔소매를 잡아매는 기구

    평각지 일반적으로 활을 쏠 때 쓰는 각지를 말함

    획정(獲旌) 화살이 과녁에 맞은 것을 알리는 기(旗). 고전기(告傳旗)와 같음

  • 활을 쏠 때

    공현(空弦) 화살이 시위에서 벗어나 땅에 떨어진 줄도 모르고 활을 쏘는 것

    더가는 것 살이 과녁을 지나가는 것. 「크다」라는 말로도 표현함

    덜가는 것 살이 과녁에 미치지 못하는 것. 「작다」라는 말로도 표현함

    낙전(落箭) 활을 쏘는 도중 화살이 시위에서 떨어지는 것

    몰촉 활을 당길 때에 화살촉이 줌을 지나 들어오는 것. 월촉이라고도 함

    반구비 화살의 살고가 알맞아 적중할 수 있게 가는 것을 말함

    살고 화살이 뜨는 높이

    양(楊) 화살이 과녁의 위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왼구비 화살이 높이 가는 것을 말함

    유(留) 화살이 과녁의 아래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줌앞 화살이 줌손의 앞 방향으로 가는 것

    줌뒤 화살이 줌손의 뒷 방향으로 가는 것

    충빠지는 것 화살이 떨며 가는 것을 말함

    평찌 화살이 평평하고 낮게 가는 것을 말함

    한배 화살이 제턱에 가는 것 즉 좌우 편차와는 관계없이 과녁이 있는 곳까지 가는 것을 말함

    한살 한배와 같음

    획(獲) 화살이 과녁의 복판을 바로 맞힌 것을 이르는 말

  • 신체

    가슴통 가슴

    각지손 각지 끼는 손

    각지손 구미 각지 낀 손의 팔꿈치

    각지손 회목 각지 낀 손의 손목

    곁동 겨드랑이

    궁체(弓體) 1) 활 쏘는 자세. 체집이라고도 말함 2) 활의 생긴 모습

    덜미 목 뒤

    등힘 줌손의 어깨와 팔 전체로 고루 미는 힘

    멍에팔 줌을 쥔 팔이 멍에 모양으로 되는 것

    바닥끝 손바닥의 가운데 금이 끝난 부분

    반바닥 엄지손가락이 박힌 뿌리 부분

    범아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사이를 말함

    북전 줌 잡는 손의 검지손가락 첫째마디와 둘째마디 사이를 말함

    불거름 방광의 바로 윗 부위를 말함

    삼지 줌손의 아래 세손가락을 말하며 하삼지(下三指)라고도 함

    엄지가락 줌잡는 손의 엄지손가락

    웃아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뿌리가 서로 닿는 부위

    웃동 웃동아리라고도 하며 어깨사이를 말함

    줌손 활을 잡은 손

    죽머리 활잡은 어깨부위

    중구미 팔꿈치

  • 사원

    거기한량(擧旗閑良) 살이 맞는대로 살받이에서 기를 들어 알리는 한량

    계장(稧長) 사계(射稧)를 대표하는 사람을 말하며 옛날의 도유사(都有司)와 같은 말

    구사(舊射) 활을 오래 쏜 사람

    대살판 일획(一劃)에 25시(矢)를 맞히는 사람

    명궁(名弓) 1) 활을 잘 쏘는 사람. 명무(名武)라고도 함 2) 좋은 활을 말함

    무겁한량 무겁을 간검(看檢)하는 한량, 즉 활터에서 적중여부를 검사하는 임무를 맡은 한량

    사두(射頭) 사정을 대표하는 사람

    사범 사원에게 궁도를 가르치는 사람

    사원(射員) 사정에 소속되어 활쏘는 사람

    살판 일획(一劃)에 20시(矢)를 맞히는 사람

    소살판 일획(一劃)에 15시(矢)를 맞히는 사람

    수띠 편사(便射)때의 편장으로 맨처음 활을 쏘았음

    시수꾼 일획(一劃)에서 25시(矢)이상을 30시(矢)로 인정하고 30시(矢)이상 맞히는 사람을 시수꾼이라고 함

    신사(新射) 처음 활을 배우는 사람

    여무사 여자 사원

    장족한량(獐足閑良) 장족(獐足)을 가지고 과녁의 살을 뽑는 한량

    종띠 과거 편사(便射)때 마지막으로 활을 쏘는 사람을 말함. 현재에는 막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한량(閑良) 본래 조선시대의 호반(虎班)을 말하며 점차 의미가 변하여 일반적으로 활을 쏘는 사람을 말함

    행수(行首) 한량을 영솔하는 사람

    획관(獲貫) 활을 쏠 때 시수(矢數)를 기록하는 사람

    획창(獲唱)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였을 때 획관(獲貫)옆에서 ‘맞혔소’하고 외치는 사람

  • 사정에서 사용하는 용어

    개자리 과녁 앞에 웅덩이 등을 파고 사람이 들어 앉아서 살의 적중여부를 확인하는 장소

    고전(告傳) 활터의 과녁 가까운 곳에서 활의 적중여부와 떨어지는 방향을 알리는 것

    과녁 널판으로 만든 솔

    관소 과녁 과거 볼때에 150보를 한정하여 쏘던 과녁

    궁각계(弓角契) 조선조 때 선혜청(宣惠廳)에 활의 재료를 공물(貢物)형식으로 바치던 계(契)

    궁방(弓房) 활을 만드는 곳

    궁사(弓師) 활 만드는 사람. 궁장(弓匠)과 같음

    궁시무(弓矢舞) 과거 군기(軍旗)에 제사를 지낼 때 추는 춤의 한 가지

    궁전(弓箭) 궁시(弓矢)와 같음

    궁정(弓旌) 활과 깃발(旗)

    궁척(弓尺) 한량(閑良)과 같음. 또는 신라시대의 활쏘던 병졸

    대궁승시(大弓乘矢) 예전(禮箭)을 쏠 때 사시(四矢)를 쏘는데 사수(四數)를 승(乘)이라 하므로 예궁(禮弓)과 예전(禮箭)을 칭하여 대궁승시라고 하였음

    대(隊)라고도 하며 활터에서 한패에 몇 사람씩 나누인 떼(그룹). 즉 같은 사대에 서서 한 과녁을 향해 쏘는 일개 조

    막순 종순(終巡)이라고도 하며, 마지막에 쏘는 한 순(巡)

    몰기 한 순(巡)쏠 때 살 다섯 개가 다 맞는 것을 말함

    무겁 개자리와 같은말

    바탕 화살이 가는 거리, 즉 사대(射臺)에서 과녁까지의 거리

    벌이줄 과거에 과녁을 베로 만들어 걸었을 때 솔대를 잡아당기는 줄

    사계(射稧) 사정에서 사원들끼리 하는 계

    사대(射臺) 활을 쏠 때에 서는 자리

    사말(射末) 사원이 자기를 낮춰 부르는 말

    사법(射法) 활을 쏘는 법. 사예(射藝)라고도 함

    사정(射亭) 활터에 세운 정자

    사정기(射亭旗) 사정을 대표하는 깃발

    사풍(射風) 한량 사이의 풍습

    살받이 과녁을 세운 전후좌우의 화살 떨어지는 장소

    설자리 사대와 같음

    소포 포속으로 만든 솔

    나무와 포속으로 만들어 화살로 맞히는 목표. 사적(射的)이라고도 함

    솔대 소포를 버티는 나무

    순전 무겁 앞

    시장(矢匠) 화살을 만드는 사람

    시지(試紙) 시수(矢數)를 기록하는 종이

    앙사(仰射) 사대(射臺)의 높이보다 높은 과녁을 향하여 활을 쏘는 것을 말함

    연전길 화살을 주우러 다니는 길

    연전동(揀箭童) 화살을 주우러 다니는 아이

    일순(一巡) 한 번에 차례대로 돌아가며 화살 5개를 쏘는 것

    일획(一劃) 관사 과녁에 10순(巡)을 쏘는 것. 즉 50시(矢)를 말함

    활을 셀 때 쓰는 말

    전사과녁 내기할 때 쓰는 과녁

    점화(點火) 각궁 제작 시 부레풀을 접착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접착부분이 떨어져 탄력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따뜻하게 건조 보관하는 것을 말함

    정순(正巡) 정식으로 활을 쏘는 것

    중포 소포보다 큰 솔

    초순(初巡) 처음 쏘는 한 순(巡)

    터 과녁 거리는 120보에 한하고 습사(習射)할 때 쓰는 소포나 과녁

    토성(土城) 무겁뒤 흙을 쌓아 화살이 멀리 가는 것을 방지하는 곳

    편사(便射) 사정과 사정이 평소 닦은 기량을 서로 비교하여 승부를 걸정하는 것

    평사(平射) 과녁과 높이가 같은 사대(射臺)에서 활을 쏘는 것을 말함

    하말(下末) 사말과 같은 말

    하사(下射) 사대(射臺)의 높이보다 낮은 과녁을 향하여 활을 쏘는 것을 말함

    해갑순(解甲巡) 종순(終巡)과 같은 말로써 원래 무사가 갑옷을 벗는다는 뜻에서 사용되었음

    해궁(解弓) 활을 다 만든 후 양편의 균형을 살피며 삐뚤어진 부분을 바로 잡은 후 시위를 걸고 불에 쪼여가며 다시 바로 잡은 다음 시위를 풀고 2∼3일간 점화 후에 바른 가를 확인하는 작업

    홍심(紅心) 과녁의 빨갛게 칠한 둥근 부분. 알관이라고도 함

    활터 활을 쏘는 곳. 사장(射場)이라고도 함

    획기지(劃記紙) 시지(試紙)와 같음. 과거의 대회에서 참가선수의 시수(矢數)를 기록하여 우승한 선수에게 준 두루마리 형식의 시지(試紙)를 말하기도 함

검색